pISSN: 1598-9801
민사법이론과 실무, Vol.27 no.2 (2024)
pp.107~142
NFT 게임 아이템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
2008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비트코인을 비롯한 여러 디지털자 산이 나타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NFT가 등장하였다. 대체불가 능하다는 NFT의 특성 상 문화․예술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활용 이 가능하였고, 특히 컴퓨터 게임에서 NFT를 이용한 게임 아이템 을 제작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전부터 게임 아이템을 민법상 물건 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부정하는 견해가 많았고, NFT로 형태를 바꾸었다고 해서 민법상 물건으로 보기는 힘들 것으로 본다. 하지 만 이에 대해 기존의 게임 아이템이 게임상에서만 보유할 수 있음 에 반해 NFT 게임 아이템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지 않고도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NFT 게임 아이템의 속성을 이용해서 국내 게임업체에 서는 NFT 아이템을 통해 게임을 즐기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 의 게임을 개발하고 유통하고자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허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NFT 게임 아이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NFT를 포함한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입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구체적인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또한, NFT 게임 아이템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NFT 게임 아이 템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게임 서비스 제공자가 참여할 수 있는 방 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NFT 게임아이템의 사행성 을 방지하기 위해 우발적인 방법으로 획득한 경우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NFT 게임 아이템 유 통의 경우 게임 제작사가 NFT 게임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자격 에 대한 운영 규정을 입법을 통해 해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Improvement Scheme for introducing NFT game items
ith the develop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in 2008, NFT, a non-fungible token, appeared in the process of evolving digital assets. And it can be seen as a game item as a field that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NFT. In existing South Korea,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denied the possibility of exclusivity as to whether game items can be seen under civil law, but due to the specificity and control of NFTs, game companies own them. However, game users can use it only in the game. It can be seen that it comes to have a characteristic called a certain right that distinguishes it from existing game items. We would like to develop and distribute a game that has a structure to enjoy the game and earn profits through the NFT items owned by the person by utilizing NFT, which has irreplaceable properties instead of general game items. In this process, there are also attempts to create a game platform to use the properties of NFTs and install multiple gam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NFT item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such industrial activities by Korean game companies cannot be carried out in Korea at present.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NFT game items,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fic scope for digital assets through legislation on digital assets generated through blockchain including NFT. In addition, standardization of NFT game items i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FT game items,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measures in which game service providers can participate. In order to do 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guideline on whether or not NFT game items fall under premiums and when they are obtained by accidental methods. In the case of NFT game items, if you think that it is unthinkable to get out of digital assets in transactions, it seems necessary to resolve specific operating rules for platforms that can trade NFT game items through legi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