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9801

민사법이론과 실무, Vol.26 no.1 (2022)
pp.1~32

DOI : 10.21132/minsa.2022.26.1.01

사인증여의 철회에 대한 소고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17다245330 판결

이지은

(고려 법률사무소 변호사, 법학박사)

민법 제562조는 “사인증여”라는 조문표제 하에 “증여자의 사 망으로 인하여 효력이 생길 증여에는 유증에 관한 규정을 준용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규정이 적용될 것 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완전히 해석에 위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인증여는 계약이기 때문에 유언과 달리 계약 체결시에 이미 효력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수증자의 동의 없이 증여자가 임의로 철회할 수 없으므로 유언의 철회에 관한 제 1108조 제1항은 사인증여에 준용될 수 없다는 견해가 학계의 다수설로 인식되고 있었고, 이에 대한 대법원의 명시적인 입장 표명은 없었다. 대상판결은 사인증여는 사망을 원인으로 재산이 이전된다는 점에서 유증과 그 실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증여자의 최종 의사 를 존중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유증과 마찬가지로 임의로 철회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사인증여에 유언의 철회에 관한 민법 제 1108조 제1항이 준용된다는 입장을 명시적으로 밝힌 최초의 판 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살피건대, ① 연혁적으로 보아 로마법상 사인증여는 ‘사인(死 因)’에 중점을 두고 언제나 증여자가 언제나 철회를 할 수 있도 록 하였고, ② 우리 민법 제16조 및 제134조가 제한능력자나 무권대리인과 거래한 상대방에게 철회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사인증여가 계약이라는 것이 그 구속력을 일반증여계 약의 구속력과 완전히 동일하게 부여할 필연적 근거는 아니며, ③ 철회할 수 없는 무방식의 사인증여를 인정한다면 엄격한 형 식주의를 취하고 있는 유언의 방식을 우회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여지도 존재한다. 또한, ④ 사인증여는 현실적으로 혼외자 등과 같이 법률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관계에서 상속 내지 보 상의 의미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관계에 변화가 생겨 증여자 의 의사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증여자에게 사인증여의 철회를 인정한다고 하여 수증자의 기대권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이라 볼 수 없고, 그 외에도 ⑤ 우리 민법 제526조를 채권편에 규정 하면서도 유증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면서 그 준용의 범 위를 명시적으로 제한하지 않고 있으며, 우리 대법원도 유류분 반환청구에 있어 사인증여는 증여가 아니라 유증과 동일하게 판단된다는 점, ⑥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으로도 사인증여를 받 은 자는 유증을 받은 자와 동일하게 상속세 납부의무자라는 점 등에 비추어 본다면, 사인증여의 실제적 기능은 유증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그렇다면 유증의 철회에 관한 민법 제1108조 제1항은 사인증여에도 그대로 준용될 수 있다고 보아 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Withdrawal of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28 July 2022, 2017Da245330

Lee, Jieun

Article 562 of the Civil Act stipulates under the title “Gift Effective upon Death” that “The provisions relating to testamentary gifts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a contract of gift which is to become effective upon the death of the donor.” However, it is completely left up to interpretation as to which regulations will be specifically applied. In this regard, the majority theory recognized in the academic community was that Article 1108 (1) regarding the withdrawal of wills shall not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since it is a contract which, unlike a will, has already taken effect when it was concluded, and therefore the donor cannot arbitrarily withdraw 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donee. The Supreme Court did not express an explicit position on this. The court ruling in question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ruling that explicitly states that Article 1108 (1) of the Civil Act regarding the withdrawal of wills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by arguing that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estamentary gift in that the property is transferred by the reason of death,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final intention of the donor and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shall be withdrawn arbitrarily. It may be assessed that the actual function of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identical to that of the testamentary gift, and Article 1108 (1) of the Civil Act on the withdrawal of testamentary gift may be regarded as being applicable mutatis mutandis to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for the following reasons: 1) gift effective upon death under Roman law is focused on “death” and allows the donor to withdraw it at any time; 2) the fact that a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a contract is not a causal ground for granting the same binding force as that of a general gift contract, given that Articles 16 and 134 of the Korean Civil Act grant the right of withdrawal to the other party to a contract concluded by a person with limited capacity or an unauthorized agent; 3) there is room for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to be abused as a means of circumventing the will that adopts strict formalism if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recognized as unwithdrawable, subject to the principle of automatic protection; 4)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sought in reality as inheritance or compensation to a person in a relationship that is not legally protected, such as a person born out of wedlock, and therefore, granting the right of withdrawal of a gift effective upon death to the donor cannot be regarded as unreasonably infringing on the expectant right of donee in a case where there is a change in the doner’s intention due to a change in such a relationship; 5) Article 526 of the Korean Civil Act stipulated under the debt-related section is required to apply mutatis mutandis, but does not explicitly limit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Korean Supreme Court also judges a gift effective upon death as the equivalent to a testamentary gift, not a gift, in the claim for the return of legal reserve of inheritance; and 6)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s, a person who receives the gift effective upon death is obliged to pay inheritance tax, the same as the person who receives the testamentary gift.

Download PDF list




 
(38430) 경북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13-13 대구가톨릭대학교 성마테오관 308호    TEL 053-850-3318    gold4039@naver.com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2016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All Right reserved.